치료적 반응기술
촉진적 질문과 진술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와 생각을 자기만의 언어로 표현 가능하여 개방적 진술과 유사하다.
반영 Reflection
대상자가 진술한 것을 반복하여 스스로 본인이 말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로 대상자가 암시한 것을 말로 표현하여 숨겨진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재진술
대상자가 전한 주요 메세지와 감정을 바꾸어 설명하여 주요 부분을 강조해 말해주는 것이다.
초점 맞추기
순서, 안내 지침, 우선순위를 정해 주는 반응 기술이다
명료화
상담사가 대상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것을 대상자에게 정확히 표현한다.
정보제공
충고나 해석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대상자의 적절한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정보를 제공한다.
피드백
상담사가 어떻게 대상자를 지각하고 대하는지에 대하여 건설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관찰한 것을 말하기
상담사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역동을 상담사가 설명하는 것이다.
직면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일치하도록 하는 반응 전략이다.
요약
파악한 내용을 대상자에게 피드백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강조하여서 대상자와 함께 요약해본다. 대상자는 자신이 문제 해결에 기여를 하고 있고, 본인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므로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
유머
사람들을 기분 좋고 가깝게 하고 인간관계를 완화시켜준다. 하지만 유머를 사용해도 괜찮은 대상자를 선택해야한다. 의심이 많고 망상이 있는 대상자는 개인적인 공격으로 오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침묵
대상자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자신의 문제를 알도록 해주는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다.
비치료적 의사소통
충고
대상자를 통제하는 위치에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임으로 피한다. 예를 들어 "만약 내가 당신이었다면..."을 "당신이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이런 식의 질문으로 바꾼다.
일시적인 안심
대상자의 고민 등 생각에 관하여 걱정하지말라던가 괜찮다고 하는 쉬운 대화는 대상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알 수 없고 진지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느끼게 한다. 의사소통이 피상적 수준에 머물게 되므로 피한다. 예를 들어 "걱정하지 마세요"가 아닌 "그것에 대해 걱정되는 것이 무엇인가요?"라고 질문을 한다.
주제 바꾸기
대상자가 말해야 할 중요한 것을 상담사가 들으려 하지 않지 않았다고 대상자에게 전달하는 결과가 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다음에 애기합시다"가 아닌 "그것을 좀 더 살펴봅시다"라고 바꾸어 준다.
판단
대상자는 상담사의 가치기준에 적합할 때만 인정을 받고 용납이 된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잘못 생각하고 있어요"가 아닌 "나는 당신의 결정에 동의하진 않지만 당신이 그런 선택을 하게 된 잉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있어요"라고 바꾸어 본다.
과다한 질문
대상자에게 질문을 많이 할 경우 스트레스나 압도당하는 느낌, 방어적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왜 그렇게 느끼시나요?"보다 "그것에 대해서 더 말해 주세요"라고 말해본다.
감정적인 말을 사용하기
감정적인 말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할 경우 대상자는 신체적이나 정서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 어머니는 당신을 화나게 만드는군요."보다 "당신 어머니가 어떠한 행동을 했군요"라고 사실만을 말해주거나"그럴 때 당신은 어떠한 감정이었나요?"묻거나 또는 침묵을 유지하여 대상자가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도전
대상자는 위협을 느끼고 비현실적인 사고에 더 집착하게 되므로 피하는 의사소통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그 회사의 사장이 될 수 없어요" 등 도전되는 의사소통은 하지 않는다.
상투적인 말
"당신은 오늘 활기 있어 보입니다."등의 상투적인 말은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의 가치를 절하시킨다.
이중구속
서로 다르고 모순된 언어적 및 비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대상자로 하여금 어떤 메시지가 진실한 것인지 결정하기 어렵고 난감하게 만든다.
지시하기
지시하는 의사소통은 대상자가 가진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부정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