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언어와 뇌

by Eggmoneyna 2022. 5. 24.

언어를 포함한 모든 정신활동을 주관하는 중추는 뇌이다. 뇌손상을 입었을 때 언어 행동이나 다른 인지 수행 장애를 볼 수 있다. 새로운 영상기법들이 발전되면서 뇌신경과학이 발달되어 언어 습득이나 언어처리과정에 관하여 중요한 정보를 주었다. 

 

좌반구 기능 언어

해부학적으로 대뇌는 두 반구로 나뉘어 있는데 두개의 반구는 기능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좌반구는 언어기능을 담당하고 우반구는 공간지각 기능 등을 담당한다. 이처럼 대뇌에 어느 한쪽에서만 기능하는 전문화를 이루는 것을 편재화라고 한다. 대뇌의 기능적 비대칭성의 증거는 실어증 환자나 두 개의 반구가 분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분리 뇌

대뇌에 자우 반구는 뇌량이라는 신경다발로 연결되어 있다. 뇌량을 통하여 각 반구에 들어온 정보가 서로 다른 쪽 반구로 전달이 된다. 그리하여 정상적인 경우에 대뇌반구는 뇌량을 통하여 서로 정보를 전달하여 통합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뇌량을 절제 했을 때 한쪽 반구의 편재화된 기능을 측정할 수 있었다. 뇌량이 절제된 간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을때 심한 간질환자의 경우 뇌랴을 절제함으로써 한쪽 반구에서 일어난 발작이 다른쪽 반구로 전달되지 않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바작을 줄일 수 있었지만 뇌량이 끊어짐으로 두개의 반구는 기능적으로 서로 고립되어 서로 분리된 뇌처럼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뇌량이 절제된 환자(분리 뇌)들의 일상행동에서는 수술전과 크게 달라진 점을 찾을 수 없었으나 스페리, 가자니가 등 신경과학자들이 정상과는 다른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페리는 분리뇌 환자를 스크린 앞에 앉히고 스크린 중앙에 있는 점에 시선을 고정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점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그림이나 글자를 제시하였다. 이때 왼쪽 스크린에 있는 정보는 피험자의 우반구에 전달되고 오른쪽에 나타난 정보는 좌반구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정상인들의 경우에는 이렇게 정보가 어느 한쪽 반구에 입력되도록 조작하여도, 뇌량을 통해 다른쪽 반구로 정보가 전달되어 대뇌 반구가 통합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게 될것이다. 하지만 뇌량이 절단된 분리뇌 환자들은 정보가 입력된 반구에서만 그 정보를 처리하게 될 것이다. 스크린의 왼쪽에 '나사'라는 단어를 제시하고 분리뇌 환자들에게 무슨 단어를 보았는지를 물어봤을 때 이 환자들은 대답을 하지 못했다. 반면에 스크린에서 본 단어에 해당되는 물건을 집으라고 하면 외손으로 정확하게 나사를 집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뇌 기능의 비대칭성을 보여주는데, 오른손잡이의 경우 좌반구는 언어능력을 담당하고 우반구에서는 공간지각 능력을 담당하는 편재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좌반구가 언어중추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주었다.

실어증

좌반구가 언어를 담당하는 증거는 실어증 환자로부터 제기되었다. 1861년 프랑스 의사였던 브로카는 대뇌의 특정 영역이 손상되었을 때 말을 하는데 문제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후 많은 증거들이 좌반구의 실비안 열구(측두엽을 뇌의 다른 부위와 분리시켜 주는 틈)의 위 부분(소위 브로카 영역이라고 이름 붙여짐)또는 실비안 열구의 주변 영역이 손상되었을 때 위와 같은 실어증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영역이 손상된 환자들은 언어를 발화하는데 문제를 보였는데, 경미한 경우는 몇 개의 단어나 구절은 구사할 수 있었지만 한 개의 단어도 말할 수 없는 심각한 경우도 있었다. 이 같은 결함은 브로카 영역이 운동을 통제하는 부분과 인접해 있어서 언어의 발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또 다른 형태의 실어증은 베르니케 실어증이다. 1874년에 베르니케는 좌반구 측두엽의 뒷부분이 손상된 환자들이 브로카 실어증과는 다른 형태의 언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창하게 말은 하지만 사용하는 단어나 단어의 조합이 적절하지 않았고 말을 이해하는데 심각한 결함을 보였다. 이와 같이 언어의 이해에서 문제를 보이는 수용성 실어증을 베르니케 실어증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실어증은 모두 좌반구가 손상되었을 때 나타났고, 언어가 좌반구에 편재화 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여러 새로운 영상기술이 개발되면서 대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언어의 기능과 관계를 짓는 이러한 전통적인 생각은 많은 도전을 받게 되었다. 우선 대뇌에서 언어능력을 담당하는 특정 영역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것은 대뇌의 특정 영역에서 언어능력을 찾을 만한 정교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 언어를 담당하는 부위의 대뇌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고 사람에 따라 다른 장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신경학적 분업은 혼란스럽고 사람마다 다른 것 같다. 또한 신경과학자들은 대뇌의 활동을 신경회로의 형성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언어기능이 좌반구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좌반구의 언어영역 내에서 어떻게 국 부화되어 있는가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를 보이지 않는다.

 

언어에 대한 좌반구 편재화의 발달

편재화는 언제부터 가능해지는 것인지, 대뇌피질의 특정 반구가 언어를 담당하도록 태어날 때부터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것인지, 아니면 태어날 때에는 동등한 능력을 가지지만 발달하면서 언어능력이 좌반구에 점차 편재화되는 것인지 의문을 가져본다.

좌반구 편재화에 대한 가설

언어에 대한 좌반구 편재화에 대해서는 두 가지 대별되는 관점이 있다. 하나는 태어날 때에는 좌반구가 언어에 대해 편재화되어 있지 않고 좌반구와 우반구는 언어를 습득하는데 동등한 잠재력을 가진다는 동등 잠재력가설이다. 레닌버그는 생의 초기에 좌반구가 손상되면 언어습득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비슷한 부위의 손상을 입은 성인이나 나이 든 아동의 경우에는 심한 언어지체를 보이거나, 전혀 언어를 구사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레닌버그의 이러한 주장은 1970년대 말소리처리 과정의 연구에 의하여 반박되었다. 몰페스 등은 10개월 이하의 영아, 4세-11세의 아동, 성인의 세집단에게 음절, 단어, 말소리가 아닌 소리를 음성으로 들려주고, 각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나타나는 전기생리학적 활동을 기록하였다. 대부분의 피험자들의 전기생리학적 활동은 말소리에 대해서는 좌반구에서, 말소리가 아닌 소리에 대하여는 우반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말소리에 대한 좌반구 편재화가 영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뇌의 언어에 대한 기능적 비대칭성은 태어날 때부터 형성되고 바뀔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는데, 이것이 태어날 때부터 좌반구는 성인처럼 전문화되어 있다는 불변성 가설이다. 이가설은 반구절제술이나 국부손상을 입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좌반구가 제거된 아동의 경우 통사적 과제나 음운론적 과제에서 결함을 보였고, 또한 어릴 때 좌반구에 국부적으로 손상을 입은 아동들에게서도 비슷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동등 잠재력 가설과 불변성 가설의 관련된 논쟁은 지속되고 있다. 존슨은 좌측 측두엽이 언어를 담당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위라기보다는 언어에 필요한 빠른 시간적 정보를 처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부위일지 모른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대뇌피질의 기본 구조의 특징 때문에 환경에서 유입되는 언어적 정보는 좌반구의 측두엽이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좌반구의 측두엽은 언어처리를 담당하도록 편재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대뇌피질의 편재화가 대뇌의 구조적 차이와 언어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사이의 상호작용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본다면 언어에 대한 좌반구의 편재화는 동등잠재력 가설과 불변성 가설 사이의 어딘가에서 설명할 수 있는 것 같다.

신경학적 가소성

어린 아동들은 좌반구가 손상되었을 때 성인들보다 더 빠르고 완전하게 언어를 회복시킨다. 이러한 현상들은 대뇌 발달에서의 가소성으로 설명되는데 가소성은 대뇌의 부위가 정상 시에 가동하지 않던 기능을 양도받아 갖게 되는 능력이다. 미성숙한 뇌가 더 큰 가소성을 갖는다는 사실은 대뇌 발달의 가장 특징적인 패턴인 '과잉생산 후 가지치기'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리의 대뇌는 생후 첫 2년 동안 시냅스의 연결을 증가시켜 과잉 생산한다. 허텐 로커는 시냅스의 과잉생산이 대뇌의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했다. 2년이 지나면서 불필요한 시냅스의 연결이 상실되기 시작하고, 연결이 상실되면서 특별한 기능이 특정한 영역에 국부화 된다. 한편 베이츠 등은 좌반구와 우반구 사이의 차이가 발달의 여러 시점에서 나타나는 시냅스의 변화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생후 8-9개월에 행동 및 신경발달에서 변화가 일어나 전두엽으로부터 긴 연결 부위를 형성하고 성인 수준의 신진대사 활동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경발달의 덕분으로 아동은 단어를 이해하고 발화하게 되고, 음운론적 수준에서는 모국어에서 허락하지 않는 음소의 억제가 일어난다. 또한 아동들은 16-24개월에 어휘 폭발을 경험한다. 처음 말을 시작하던 때에 비하여 아이들이 사용하는 단어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대뇌피질에서 시냅스 밀도가 폭증되면 정보처리나 저장능력이 커지는데 이것이 어휘 폭발과 관련되는 것 같다. 4세의 아동은 모국어의 형태론적 또는 통사적 기본 구조를 습득하는데 이는 대뇌의 신진대사와 시냅스 밀도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

 

 

2022.05.22 - [심리학] -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

사람이 생각을 하지 않고 말을 할 수 있는가, 언어 없이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어와 사고가 어떤 식으로든지 연결되어 있고 이 둘을 떼어놓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eggmoneynalife.com

2022.05.10 - [심리학] - 언어심리학/언어 처리과정

 

언어심리학/언어 처리과정

언어심리학은 언어의 처리과정에 관심을 갖는다. 언어의 심리적 처리과정은 언어의 수준에 따라 구별되고 말소리, 단어, 문장의 언어처리과정이 있다. 말소리 처리과정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eggmoneynalife.com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 심리치료의 정의와 유형  (0) 2022.05.25
소비자 의사결정과정  (0) 2022.05.25
언어와 사고  (0) 2022.05.22
기억의 종류와 기억 잘하는 법  (0) 2022.05.22
이상행동의 설명모델  (0) 2022.05.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