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은 학교 공부를 할 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유기체가 환경 내에서 하는 경험이 그 유기체의 행동을 어떤 식으로 일관성 있게 변화시키면 학습이 일어난 것이다. 조건 형성보다 더 고차원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인지학습은 사고가 개입 되는 것으로 통찰 학습, 인지도, 관찰학습 등이 있다. 조건 형성 연구들은 학습이 기계적인 원리들에 따라 이루어지는 아주 수동적이고 연합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이런 관점을 따르면 무엇을 학습하는데 사고나 문제 해결 과정이 필요 없다. 하지만 우리의 학습 방식이 오로지 조건 형성 원리들로만 따르는 것인지 생각해보자. 기하학적 증명 문제의 요점을 파악하거나 자동차의 엔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배우는 경우처럼 복잡한 유형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고와 정신활동의 역할이 중요하다. 자극-반응의 연합을 지배하는 조건 형성 원리들로 설명되기 힘든 이런 유형의 학습을 인지학습이라고 한다.
통찰 학습
통찰이란 문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른다. 독일의 심리학자 쾰러는 침팬지를 대상으로 통찰 학습에 대한 고전적인 연구들을 행하였다. 한 실험에서 그는 침팬지 우리 속에 상자들과 막대를 넣어놓고 천정에 손이 닿지 않도록 바나나를 매달아 놓았다. 이 상황에서 침팬지들은 여러 가지 행동들을 해 보다가 포기하는 듯했지만 결국에는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내었다. 예를 들어 막대로 과일을 쳐서 떨어뜨리고 상자를 바나나 아래로 끌고 가서 받침대로 삼아 올라가 바나나를 땄다. 쾰러는 바나나를 점점 더 높이 매달았는데, 침팬지들은 상자 위에 상자를 쌓아서 바나나를 따는 행동까지도 하였다.
쾰러는 이러한 원숭이의 행동은 특정한 반응 경향성이 기계적으로 강화되거나 약화된 결과가 아니라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동물들은 일단 문제가 해결되면 보통 그 후부터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를 알고 있는 것처럼 유연한 수행을 계속했고 더 이상의 실수는 드물었다. 또 통찰적 해결은 침팬지가 상황을 탐구하는 듯 머리와 눈만 굴리면서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나타났다. 모든 것은 손다이크의 고양이들의 시행착오적 행동과는 아주 달랐다. 게다가 침팬지들은 한 과제에서 배운 것을 다른 과제에 까지 전이시킬 수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자와 막대를 치워 버리면 침팬지는 작은 사다리나 책상을 끌고 와서 받침대로 사용했다. 한 침팬지는 사람을 바나나 아래에 끌고 가서 받침대로 사용하려고도 했다.
우리는 통찰 학습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때문에 그것이 고차원적인 학습이라고 당연히 생각하지만 통찰 학습도 도구적 조건 형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인지도
사람이나 침팬지뿐만 아니라 쥐도 인지학습을 할 수 있다. 도구적 조건 형성 연구에는 문제상자나 스키너 상자 외에도 미로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동물은 미로학습시 무엇을 배우는지 생각해보자. 조건형성 원리들에 의하면 동물은 미로 속의 자극들에 대하여 특정한 반응을 하기를 배운다. 예를 들어 T자형 미로에서 먹이가 항상 오른쪽 가지 끝에 있으면 동물은 선택지점에서 오른쪽으로만 도는 반응을 학습한다는 것이다. 효과의 법칙에 따라서 왼쪽으로 도는 반응은 강화를 받지 못하므로 약화되고 오른쪽으로 도는 반응은 강화를 받아서 증강된다. 그러나 톨만은 이러한 견해를 부정하고 동물이 미로에 대한 일종의 정신적인 지도인 인지도를 습득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하면 동물은 미로가 어떻게 생겼는가에 대한 지식을 학습을 한다는 것이다. 미로에 출발상자에서부터 목표상자까지 가는 길이가 다른 세가지 길 a, b, c가 있다. 그중 b길이 가장 짧고 그다음 a길, 가장긴 c길이 있다. a길과 b길은 x지점을 통과하여 가는 길이고 c는 돌아가서 가장 길지만 x지점을 거쳐가지 않는다. 훈련초기에 쥐들은 미로를 탐색하면서 세길을 다 거쳐본다. 점차 가장 짧은 길인 b를 선호하고 가장 긴 길c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x 통로를 차단하였다. b뿐만 아니라 a길도 막혀버리게 된다. 차단시킨후 처음으로 행해진 시행에서는 물론 쥐들이 길 b로 가다가 막혀서 목표상자에 도달하지 못했다. 그 다음 시행에서 두번째로 빠른 a길로 가는 반응을 해야 할 것 같던 쥐들이 다음 시행시 c길로 가능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이 이지도를 획득한다는 톨만의 주장을 지지했다.
관찰학습
조건형성 실험에서는 유기체가 대개 학습할 반응들을 직접 수행함으로 배운다. 개가 먹이를 받고 침을 흘리지 않으면 조건 자극에 대해 침 흘리는 반응이 학습될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모든 행동을 실제 수행을 통하여 학습해야 한다면 문제들이 생긴다. 효과의 법칙에 따르면 예를 들어 운전을 배우는 사람은 여러 행동들을 시행착오적으로 하면서 그중 보상받은 몇 가지 행동들을 학습할 것이다. 차를 움직이는 것은 여러 반응들을 해보다가 우연히 가속페달을 밟는 반응함으로 배울 수 있다고 쳐도 차를 정지시키는 것은 그렇지 못하다. 브레이크를 밟는 반응을 하기 전에 전조등을 켜거나 기어를 바꾸는 등 엉뚱한 반응을 하면 그것이 차를 정지시키는데 아무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배우기 전에 사고가 날 것이다. 유기체가 직접 경험을 하는 대신 다른 개체들의 반응을 보고 모방함으로 학습하는 것을 관찰학습이라고 하고 대리 학습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찰학습의 대표적인 예는 반두라로 아동들이 타인의 공격적 행동을 얼마나 잘 모방하는 가를 보여 준다.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
학습이란 단지 학교 공부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생활 전반을 지배하는 현상이다. 일상적인 예로 사람마다 성격이 제각각이어서 어떤 소녀는 애교가 넘치지만 또 다른 소녀는 무뚝뚝할 수 있다. 대개 성격은 타고 나는 특성이라서 고치기 힘든 것으로 이야기 하지만 그런 성격차이는 그들이 자라면서 서로 다른 행동을 학습했기 때문일 수 도 있다. 애교 있는 행동을 할때마다 부모들이 좋아하고 칭찬을 해줄 수 도 있고 애교있는 행동을 해도 부모가 무관심하거나 오히려 구박을 했다고 했을 때, 효과에 법칙에 따르면 첫번째의 경우 애교있는 행동을 많이 하게 되는 아이가 될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부모의 관심과 칭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른 행동들을 모색하게 되었을 것이다.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강화의 차이가 두 사람의 성격차이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학습 심리학의 특징은 인간 행동의 원인을 성격심리학처럼 개인 내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살아온 환경이라는 개인 외부에서 찾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방식의 좋은 점은 개인의 결심이나 의지에 호소함으로써가 아니라 환경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사람의 행동이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더 알아보기
2022.05.19 - [심리학] - 도구적 조건 형성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형성을 통한 학습의 한계 (0) | 2022.06.02 |
---|---|
고전적 조건형성과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0) | 2022.06.01 |
심리학의 연구방법 (0) | 2022.05.30 |
동기의 유형, 동기연구의 활용, 동기 강화 (0) | 2022.05.29 |
동기의 개념과 이론 이해하기 (0) | 2022.05.29 |
댓글